pISSN: 1738-5377 / eISSN: 2713-6027

교회사학, Vol.10 (2013)
pp.233~260

교회사(敎會史)적 시각에서의 한국 현대 성당건축 외부공간의 유형과 의미 - 아시하라 요시노부(芦原義信)의 외부공간 개념의 재해석을 중심으로 -

권태일

(동의대학교 교수)

전통적으로 성당건축(聖堂建築, Catholic Church Architecture)은 외부세계(俗界)와 분리된 성소(聖所)로서의 의미를 가지 며, 크게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으로 구성된다. 내부공간은 전례(典쎒)수행을 위한 중심장소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외부공 간은 내부 전례공간과 외부세계를 매개하는 전이공간이자 완충장소로서 전례의 준비, 희생제사, 출입구 등 주로 보조적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현대사회로 오면서 성당건축의 의미는 단순히 독립된 성소에 머물지 않는 다. 과학기술의 발전, 정치적 민주화와 사회 경제적인 변화, 그리고 20세기 전례운동(典禮運動, Liturgical Movement)과 제2차 바티칸 공의회(Vatican Ⅱ)에 의한 종교적 쇄신 등이 맞물리면서 교회공동체(ekklesia)의 기능과 예배형식에 많은 변화가 나타났고, 그에 따라 성당건축도 사 회적, 문화적 기능이 강조되는 새로운 차원의 공간 형식으로 변모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성당건축이 갖는 사회·문화적 기 능의 상당부분을 수용하게 되는 외부공간도 단순한 보조공간이 아니라, 주요 영역의 하나로 그의미가 차츰 변해가고 있다 .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성당건축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뚜렷하게 구분하는 경계, 즉 공간적 위계성이 점차 흐려진다 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성당건축, 특히 한국 현대 성당건축에 대한 대부분의 전문연구는 여전히 내부 전례공간을 중심으 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외부공간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매우 드물다. 이런 취지에서 이 글은 먼저 건축의 외부공간 연구 에 거장(巨匠)인 아시하라 요시노부의 논리를 통해 그 구성방식과 의미를 파악한다. 그런 후, 이를 성당건축에 적합하게 재해석, 적용하여 교회사(敎會史)적 시각에서 다양한 유형의 성당건축 외부공간을 4가지 조합형식으로 정리·분류하고 그 의미를 밝힌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1960년대 이후 본격적인 현대화가 시발된 한국의 사회적 변화 속에서 우리나 라 현대 성당건축의 외부공간은 어떠한 유형과 의미로 형성되어 왔는지, 즉 그 정체성을 1)종교시설의 관점, 2)사회참여 공간의 관점, 3)지역건축문화 표현장소의 관점으로 세분하여 추적한다. 이러한 논의의 목적은 한국 현대 성당건축 의 외 부공간계획은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 그 좌표점을 새롭게 조명 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A Study on The Meaning and Type of The Exterior Space in Modern Korea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with The Perspective of Catholic Church History - focused on reinterpretation of Asihara Yoshinobu’s idea of the exterior space in architecture -

Kweon, Tae-ill

Traditionally,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has been composed of the inside liturgical space and the exterior supplementary space. The former is generally regarded as the core place for liturgical ceremony, and the latter transition space; the space between the Sacred and the Profane. However, the meaning & function of exterior supplementary space in Moder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has been changed not only as the transition space but also the part of main liturgical space with the democrat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Catholic Church Liturgy; 20th century Liturgical Movement and VaticanⅡ(1962-65). In the context, this paper attempt to analyze a new meaning and type of the exterior space in Modern Korean Church Architecture based on architect Asihara Yoshinobu’s idea of the exterior space in architecture with the perspective of Catholic Church History.

Download PDF list




 
[12903] 경기도 하남시 미사강변북로 99 (망월동) 수원교회사연구소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 031) 792-8541      E-mail : casky@casuwon.or.kr      대표 : 이용훈      사업자등록번호 : 135-82-00919
COPYRIGHT ⓒ 수원교회사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