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738-5377 / eISSN: 2713-6027

교회사학, Vol.16 (2019)
pp.351~379

DOI : 10.35135/casky.2019.16.351

지록위마(指鹿爲馬), 문장의 진리치에 관한 《명리탐》의 침묵에 관한 논변

강상진

(서울대 철학과 교수)

17세기 초 포르투갈의 코임브라 대학에서 편찬한 아리스토텔레스 논리 학에 관한 번역과 주석을 중국어로 번역한 《명리탐》의 특징적인 면모 중 의 하나는 아리스토텔레스가 공들여 논한 문장의 진리치에 관한 논의는 번역에 전혀 반영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그 원인 중의 하나가 사 물을 부르는 것과 사물에 대해 어떤 주장을 하는 것 사이의 경계가 《명리 탐》의 번역자에게 선명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아리스토텔레 스로부터 연원하여 중세에서 발전한 논리학 체계에 따르면 문장의 진리 치는 사물을 무엇으로 이름하여 부르는 단계에서는 성립하지 않고 서술 (predication) 단계에 와서야 비로소 성립한다. 《명리탐》의 저자에게는 이구별이 받아들일 수 없거나 적어도 번역에서 소화할 수 없는 것이었기 때 문에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편에서 문장의 진리치에 관해서 침묵하는 일 혹은 특정 문맥에서 잘못 번역하는 일이 발생했다고 주장한다.

Calling a stag a horse, An argument from silence about the truth-value of a sentence in Minglitan

Kang, Sang-Jin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17th century Chinese translation of Aristotle’s Categories is the silence about the arguments concerning the truth value of a sentence. This article tries to show that one of the reasons of that silence can be attributed to the negation of, at least the reluctance toward the distinction between appellation and predication.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of logico-semantical system which is originated from Aristotle and fully developed in the medieval philosophy, the truth value of a sentence emerges not on the level of appellation. but first on the level of predication. Since this distinction was not acceptable for the authors of Minglitan , or at least was not to digest in the translation, they kept silence about the truth value of a sentence or made a mistake in the translation about this topic.

Download PDF list




 
[12903] 경기도 하남시 미사강변북로 99 (망월동) 수원교회사연구소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 031) 792-8541      E-mail : casky@casuwon.or.kr      대표 : 이용훈      사업자등록번호 : 135-82-00919
COPYRIGHT ⓒ 수원교회사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