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738-5377 / eISSN: 2713-6027

교회사학, Vol.17 (2020)
pp.79~107

DOI : 10.35135/casky.2020.17.79

아리스토텔레스 문헌 전승과 《명리탐(名理探)》

김기훈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선임연구원)

이 글은 아리스토텔레스 문헌 중 논리학 저작이 번역을 통해 어떻게 동 아시아 한자 문명권에 소개되었는지 그 과정을 추적하고 분석한 결과를 담고 있다. 스트라본의 《지리서》에, 아리스토텔레스가 남긴 문헌의 소실 과 재발굴은 극적인 사건으로 오늘날에도 회자된다. 이 고대 기록에서 출 발해 아리스토텔레스 문헌 전승의 역사는 서양 중세철학의 수용사와 주석 연구사에서 주로 다루어졌다. 최근 국내 학계에는 아리스토텔레스 《범주》 와 포르퓌리오스의 《이사고게》가 한문으로 번역된 《명리탐(名理探)》 연구 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한역본의 대본으로 사용된 17세기 초 《코임 브라 대학 주해서》의 문헌 성격과 구성, 그중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 저작의 번역 출처 및 책임 저자 등에 대해서 규명하고자 한 본고는 《명리탐》 번역과 연구의 일환이다.

Corpus Aristotelicum and Minglitan (名理探)

Kihoon Kim

Main focus of this study is on researching and interpreting how the Corpus Aristotelicum, especially the works concerning on the logic, the Organon, was introduced by Chinese translation into the East Asian civilization. It is still widely known that Aristotle’s works had been lost and afterwards were recovered dramatically as Strabo wrote in his Geography. From this ancient testimony now on, the history of the Corpus Aristotelicum has been studied mainly on the reception of the Aristotelian philosophy and its commentaries in the Middle Age. Recently in Korea, the Minglitan (名 理探), which contains the Chinese translation of Aristotle’s Categories and Porphyry’s Isagoge, has been brought to the fore by researchers. This study, in accordance with preceding studies, aims at giving the entire picture of the significance and structure of the Commentarii Collegii Conimbricensis, particularly its part on the logic, which was the original Latin text of the Minglitan, and its author and the source of translation.

Download PDF list




 
[12903] 경기도 하남시 미사강변북로 99 (망월동) 수원교회사연구소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 031) 792-8541      E-mail : casky@casuwon.or.kr      대표 : 이용훈      사업자등록번호 : 135-82-00919
COPYRIGHT ⓒ 수원교회사연구소. ALL RIGHTS RESERVED.